안녕하세요 이웃님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선시대 고전 『용비어천가』 1장과 2장을 옛 한글 표기법과 함께 해석해 보겠습니다. 용비어천가는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후 널리 알리기 위해 훈민정음에 기록한 작품 중 하나입니다. 하나입니다. 하지만 당시의 문자 체계가 지금과 달라서 우리가 알고 있는 현대 한글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 듭니다. 그 시대의 언어적 분위기를 느껴 해석해보자.
용비어천가의 배경과 의미
용비어천가는 세종 27년(1445)에 시작되어 세종 29년(1447)에 완성된 조선의 찬가이다. 조선 왕조의 건국을 정당화하고, 군주의 바람직한 덕목을 미래의 왕들에게 전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세종대왕은 조선 건국 과정과 그 정당성을 기념하기 위해 집현전 학자들에게 용비어천가를 건립하게 했습니다. 이 작품은 한국어로 쓰여진 최초의 문헌 중 하나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용비어천가는 총 12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서사부, 본부부, 결부부로 나누어진다. 설화는 왕조의 건국과 번영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본부는 조선의 여섯 조상(목조, 익조, 도장, 환조, 태조와 태종의 위대한 업적을 칭송하고, 협회는 건국을 권유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 이러한 구조를 통해 조선조에 건립된 것은 경천의 정신과 후대 왕들의 정신을 실천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2장에서 ‘뿌리깊은 나무’라는 표현은 용비어천가 1장에서 조선왕조가 뿌리 깊은 나라였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해석
제1장 해동의 육룡은 나르샤이다. 그들이 하는 모든 일은 하늘의 축복이며 고대 성은 동쪽에 있습니다. 해석 “해동 육룡이 날고, 하는 일마다 하늘의 은총을 받아 옛 성인과 같다.” 해설 여기서 ‘해동 육룡’은 세종대왕을 가리킨다. 6대 조카(목조, 익조, 도장, 환조, 태조, 태종)를 가리킨다. (6대 증조할아버지까지 왕이 아니더라도 왕으로 임명하여 조선의 정당성을 강조하려는 목적이다. 태조와 태종을 언급하고 정종을 생략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조선의 기초를 놓은 조상이라 하며, 그들을 하늘의 조상이라 부른다. 그들은 복을 받아 조선을 번영의 길로 이끌었다고 한다. ‘고성은 동쪽에 있다’는 것은 그들의 행위가 고대 성인들의 업적과 조선 왕조의 정통성과 일치함을 나타낸다. 위대함을 상징합니다. 이를 통해 조선왕조의 정당성과 하늘의 축복을 강조하고, 나라의 기초가 튼튼함을 보여준다. 용비어천가 2장 해석
불휘기뿐남간바라마이물쌍곶년코여름하나니 현대해석 “뿌리가깊은나무는바람에도흔들리지않으니꽃이좋고열매가많다.” 해설 ‘불휘’는 ‘뿌리’라는 뜻이고, ‘기펜남간’은 ‘깊은 나무’라는 뜻이다. 조선왕조의 깊은 뿌리와 견고한 기반을 상징합니다. ‘바라매아니물새’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조선왕조가 외부의 위협에도 흔들리지 않고 굳건히 서겠다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갓 존코 여름 하나니(Got Djonko Summer Hanani)’는 아름다운 꽃과 풍성한 과일을 의미하며 왕조의 번영과 백성들이 누리게 될 평화와 풍요를 상징합니다. 세종대왕은 이렇게 말했다. 이를 통해 조선이 안정된 기반 위에서 번영하기를 바란다. 결론적으로
용비어천가는 조선왕조의 건국이념과 조선의 번영을 기원하는 염원을 표현한 찬가이다. 고대어와 독특한 표현에는 당시의 역사적 의미와 상징성이 깊이 배어 있다. 1장과 2장의 대목을 통해 우리는 조선왕조가 강성하고 번영하기를 바라는 세종대왕의 염원을 엿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고전을 통해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되돌아보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