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 면제한도 증여재산공제 상향 결혼자금 증여세 부담 완화검토 증여세 계산구조 및 증여세율 알아보기

정부가 저출산 대책으로 결혼자금에 한해 증여세 면제 공제 한도를 추가로 공제하겠다는 뉴스기사가 올라와 있습니다.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증여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luis_tosta, 출처 Unsplash

증여란 재산을 댓가없이 무상으로 다른 사람에게 주는 것을 말합니다.이때 붙는 세금이 증여세 입니다.즉,증여세란 타인으로 부터 재산을 증여받은 경우에 그 재산을 물려받은 사람이 부담하는 세금입니다.

증여자(증여하는 사람) 무상⇒수증자(증여받는 사람)세금납부세금부과【일정한도 초과시】

▣증여세 납부 의무자증여를 받은 사람,즉 수증자가 증여세를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이때 증여를 받았다고 하여 무조건 세금을 내는 것이 아니라 일정금액을 공제한후의  금액에대해서 증여세를 납부하게 됩니다.▣증여제산공제우리가 증여세 면제한도로 알고 있는 증여재산공제란 증여를 받을때 일정액을 공제받게 되는데 이를 증여재산공제라고 합니다.증여재산공제 한도는 10년간 합산한 누적한도입니다.

구분공제한도액배우자6억원직계존속성년5천만원미성년자2천만원직계비속5천만원기타친족1천만원

▣증여세 계산구조아래 구조는 이해를 돕기 위한 간단한 증여세 계산구조입니다.각 항목별 세부내용은따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3억원을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 가정】(3억원-5천만원)x20%-1천만원=4천만원

증여재산가액(비과세.채무액 등 공제)3억원-증여재산공제5천만원=증여세 과세표준2억5천만원x세율20%=납부할 증여세4천만원 ▣증여세율증여세 과세표준에서 적용할 증여세율은다음과 같습니다. 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액1억원이하10%없음5억원이하20%1천만원10억원이하30%6천만원30억원이하40%1억6천만원30억원초과50%4억6천만원 ▣증여세 신고 납부기한 증여받은 날로부터 3개월이내  수자가 신고.납부 재산을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월 이내증여받은 사람이 신고납부해야 합니다.증여세를 증여자가 대신 납부한다면증여세에 대해서 추가로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benmullins, 출처 Unsplash신고세액공제산출세액의 3% 공제 증여세를 위 신고기한내 신고를 할 경우  산출세액의 3%를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위 사례에서 납부할 증여세가 4천만원이라면1백20만원을 공제받을 수 있게 됩니다. 정부 증여공제한도 확대 검토 혼인시 결혼자금에 한해 상향 정부가 증여세 공제한도를 검토하겠다고 한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현행 10년간 증여재산공제한도가 5천만원인데결혼자금에 한해 증여세 공제한도를 추가로 확대하겠다는 것입니다.실제 자녀가 결혼을 할때 혼수라든가주택마련 등으로 우회적인 방법으로부모가 자녀에게 증여세 한도를 초과하여 증여를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일부 이를 악용하여 탈세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현실성이 있어 보입니다.  deborah_cortelazzi, 출처 Unsplash※본 포스팅 내용은국세청 홈페이지 증여세에 대한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보다 더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홈페이지를참고하시고 실제 증여를 검토한다면 세무사.회계사 등 전문가의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